안녕하세요 오늘 영화추천 및 영화리뷰할 영화는<500일의 썸머> 입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참 좋아하는 영화이며 4번 정도 본 것 같습니다. 마크 웹 감독의 작품이여 조셉 고든 레빗이 남자 주인공 톰 역으로 주이 디샤넬이 여자 주인공 썸머 역으로 나옵니다. 그리고 클레이 모레츠가 옛된 모습으로 조셉 고든 레빗의 동생 역할로 나옵니다. 개봉후에도 여러번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며 얘깃거리가 되는 500일의 썸머입니다. 이 영화가 이토록 현실감 있게 다가 온 이유는 각본가인 스콧 노이스태터의 실제 경험담을 많이 가져왔기 때문입니다. 실제경험이 바탕이 되니 관객들의 공감을 더욱 불러 일으킨 것 같습니다.
“우연은 우주의 이치다!” 자신의 인생을 바꿔줄 운명적 사랑을 기다리는 순수 청년 ‘톰’,
어느 날 회사에 새로운 비서로 나타난 ‘썸머’를 처음 보는 순간 대책 없이 사랑에 빠져들게 됩니다.
“나는 진지하고 싶지 않아!”
구속 받기 싫어하고 혼자만의 삶을 즐기는 자유로운 여자 ‘썸머’,
누군가의 여자이기를 거부하는 ‘썸머’는 ‘톰’과 친구도, 애인도 아닌 애매한 관계를 이어 나갑니다.
“저기… 우리는 무슨 관계야?”
‘썸머’를 평생 함께 할 천생연분이라 확신하는 ‘톰’.
하지만 어딘지 어긋나고 삐걱대는 두 사람
이제 둘 관계의 변화를 위한 선택이 필요한 순간이 다가옵니다.
카드 문구를 만드는 회사에 다니는 톰은 비서로 새로 회사에 들어온 썸머에게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썸머 그 이름만 들어도 여름처럼 찬란하고 아름다운 여인에게 톰은 마음을 홀딱 빼앗겨 버립니다. 썸머에게 빠진 톰은 적극적으로 구애를 하게 되고 친구와 연인 그 중간 사이로 만나게 됩니다. 그런데 갑자기 썸머가 톰에게 복사를 하면서 키스를 하게 되죠. 여기서 톰은 정신이 나가버립니다. 이후 두 사람은 여느 연인처럼 데이트를 하고 또는 신혼부부의 모습처럼 가구도 보러 다니며 스킨십고 하고 알통달콩 지냅니다.
중요한것은 톰은 썸머가 특별했고 사랑을 통한 만남이었지만 썸머의 모습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자유로운것을 좋아하고 구속받기 싫어하고 톰과의 관계를 연인사이로 규정짓는 것을 원치 않았습니다. 하지만 둘의 모습은 누가봐도 연인이었죠. 썸머도 톰을 좋아했습니다. 톰과 썸머 서로간의 다른 시각으로 연애는 진행됩니다. 썸머에게 좀 더 확실한 마음을 원했던 톰은 썸머에게 불 같이 화를 냅니다.
하지만 서로는 너무 달랐습니다. 톰은 어려서 부터 운명을 믿고 순수한 사랑을 꿈꿔왔고 썸머는 어려서 부터 부모님이 이혼하고 사랑을 믿지 못 하였고 자신의 긴 머리카락을 스스로 자를때마다 이별에 아프지 않을 것을 다짐하고 반복해왔습니다. 썸머에겐 평균적인 감정이아닌 본인만이 특별히 느낄 수 있는 확신과 감정이 필요했겠죠. 자신의 마음을 온전히 내주고 함께할 사람에게는요. 썸머는 톰을 분명히 좋아했지만 그 특별한 확신과 믿음의 감정은 느껴지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서로 다른 사람이 만나고 사랑을 나누고 미래를 그려보고 하는것이 절대 쉽지 않다고 생각이 듭니다. 제가 이 영화를 한 번, 두 번, 세 번... 볼수록 느껴진게 슬펐던 것은 썸머의 입장이 서서히 이해 될때 였습니다. 톰의 입장에서 그저 썸머는 썅년이다 비치다 라고 욕하고 넘어가면 마음이 편합니다. 욕하고 치우면 끝입니다. 근데 썸머의 그런 행동들조차 영화보기를 거듭할수록 그랬겠다.. 썸머의 마음이 이랬겠다.. 마음이 점차 드는 순간 더욱 슬펐습니다,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만큼 사랑과 이별의 아픔을 두 눈 똑바로 뜨고 마주하기가 힘들어서 였을까요. 제가 톰의 입장과 비슷해서 였을까요. 사랑의 결실을 맺기가 이토록 힘겨운 것을 다시금 느껴서 였을까요.
이상하게도 이 영화는 리뷰를 쓰는것도 뭔가 마음이 복잡해집니다. 마지막으로 여러분과 공감하고 나누고 싶은것은 언제까지고 뜨거울 것 같던 여름의 햇빛은 시들어지고 생각지도 못 한 가을 밤은 귀뚜라미 소리와 함께 훌쩍 다가옵니다. 썸머가 가고 언텀이 옵니다. 서로 꿈꾸고 사랑하시길 바랍니다. 이만 영화 <500일의 썸머>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