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영화<재심>에 관한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영화 재심은 10여년전 약촌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을 실화바탕으로 제작된 영화입니다. 억울한 한 소년이 살인죄를 쓰게 되고 한 변호사가 그 억울함을 풀어주는 과정을 그린 영화입니다. 실화 바탕이라 더욱 몰임감 입게 봤던 영화네요. <또 하나의 약속>을 연출한 김태윤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으며 변호사 역할은 정우가 살인죄를 쓴 청소년 역할은 강하늘이 맡았습니다.
10년전 약촌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 발생당시 빚만 많고 빽 없는 변호사인 준영(정우는) 무료 법률 번호를 해주던 중 약촌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 용의자로 살아온 현우(강하늘)의 사건을 알게 됩니다. 자신의 이미지 회복에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 준영은 현우의 사건을 담당하고 변호하려 하지만 이상하게도 현우는 사건에 비협조적입니다.
10년전 약촌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의 유일한 용의자인 현우는 사건을 목격하고 경찰에 신고합니다. 하지만 목격자인 현우는 어느새 살인 용의자로 되어 가고 있었습니다.
사건담당 백철기 형사는 수사를 빨리 종결시키고 자신의 이익을 얻기위해 불량청소년인 현우를 살인범으로 몰아세웁니다. 현우가 자신이 죽이지 않았다고 주장하자 각종 고문을 통해서 현우가 살인범으로 자백하게 만듭니다.
그렇게 10년간 교도소에서 억울하게 복역을 마치고 나온 현우는 그 사건을 떠올리는것 조차 고통스럽습니다. 준영은 사건을 파헤칠수록 수상한 부분이 많은 것을 느끼고 현우가 범인이 아니다라는 마음을 가지고 수사를 하게 됩니다.
시간이 흘러 사건이 재심 되고 판결이 뒤바뀌는 것을 막아야 되는 윗선은 대형 로펌을 사용해 준영과 현우의 재심을 막으려 합니다.
준영의 오랜 설득 끝에 현우는 수사에 협조하게 되고 당시 사건의 상황과 어떠한 협박이 있었는지 알려주게 되고 준영과 현우는 수사의 빈틈이 무엇인지 치밀하게 조사하고 파고듭니다.
결국 현우와 준영은 진범을 밝히게 되고 현우는 비록 복역을 다 하고 나왔지만 남은 생은 살인자란 누명을 벗고 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억울하게 살인자 아들이란 누명을 쓴 현우의 어머니도 시간이 많이 지났지만 그나마의 억울함을 풀 수 있었습니다.
영화 재심은 우리나라의 잘못된 관행과 공권력의 민낯을 파헤치는 사회고발물 영화입니다. 실화 바탕으로 관객들의 공감을 더욱 불러 일으키고 배우들의 명연기가 지루할 수 있는 극의 흐름을 잡아줍니다. 이제 이러한 억울한 사건의 남의 얘기가 아닙니다. 곧 우리에게도 닥칠 수 있는 우리사회에 만연한 이야기입니다. 점차 병들어가고 억울해지는 일이 많은 우리나라에 정의감이란 작은 불씨가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샀습니다.
정우가 연기한 박준영 변호사 입니다. 박준영 변호사는 재심 전문 변호사로도 알려져 있으며 억울한 목소리를 듣겠다 라고 힘을 실어주기도 했습니다. 작은 정의감을 불태워준 영화 <재심>에 대한 재심 후기, 리뷰, 추천에 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