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 영화추천 및 영화리뷰, 영화후기를 남길 영화는 <살인자의 기억법>입니다. 원작은 김영하 작가가 쓴 살인자의 기억법으로 동명의 제목으로 원신연 감독이 스크린으로 옮겼습니다. 개봉 전부터 설경구의 미친 연기력으로 화제가 된 작품인데요. 설경구의 연기력이 여실히 드러나는 작품이며 <살인자의 기억법>으로 설경구는 17회 디렉턱스컷 남자연기자 상을 수상 했습니다.
연쇄 살인범이었던 김병수(설경구)는 살인범 생활을 청산한 후 알츠하이머 병에 걸립니다. 자신의 딸인 은희(설현)과 함께 시골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병수는 운전을 하던 중 민태주(김남길)과 접촉 사고가 나고 병수는 태주의 눈빛을 보고 본능적으로 살인범이다 라는 것은 직감하게 됩니다.
병수는 최근 일어난 일련의 살인사건을 태주가 범인이라며 안소장(오달수)에게 말하지만 안소장은 태주가 경찰이라 그럴리 없고 증거가 있어야 한다며 병수를 나무랍니다.
병수는 알츠하이머 증세 때문에 있었던 일과 증거를 찾아도 자꾸 기억을 하지 못 합니다. 그래서 컴퓨터에 기록을 합니다. 그러던 중 자신의 딸 은희가 태주와 데이트 하는 것을 목격하게 됩니다.
병수는 필사적으로 은희와 태주를 떼어놓으려 하지만 증거가 없어 자신만 이상한 사람을로 몰릴 뿐입니다. 병수가 계속해서 추리를 하며 태주를 몰아세우자 태주는 은희를 납치하고 병수와 혈투를 벌입니다.
병수와 은희는 태주의 손에서 벗어나게 되고 태주는 경찰들에게 연행됩니다. 병수는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으며 회복하고 은희도 건강한 상태로 돌아옵니다. 시간이지난 후 병수는 태주가 어디엔가 살아 자신과 태주를 위협한다는 불안한 생각과 그 동안 자신의 기억이 진실인지 거짓인지 의심하며 영화는 끝이 납니다.
<살인자의 기억법>은 살인자와 알츠하이머 라는 두 가지 성격이 한 캐릭터에 모여 병수라는 매력적인 인물을 만들어 냅니다. 알프하이머의 성격이 강하지만 살인자라는 캐릭터가 태주에게도 있어 이전과는 다른 스릴러를 느낄 수 있습니다.
영화 <메멘토>와 유사한 포멧인 알츠하이머란 소재를 이용했지만 메멘토만큼 영화가 복잡하고 머리를 써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영화는 적당한 긴장감을 유지하며 마지막에 설경구 자신의 기억을 의심하는 장면이 마지막에 영화를 다시금 집중하게 하는 힘인 것 같습니다.
설현과 황석정, 김남길 각자의 캐릭터에 맞게 좋은 연기를 보여주었습니다. 그 중 설경구는 새벽5시 촬영에 1시에 일어나 줄넘기를 하고 현장에 올만큼 늙어가는 병수의 캐릭터를 온 몸으로 소화해내며 미세한 눈 떨림 연기 등 이전까지 볼 수 없었던 캐릭터를 보란듯이 소화해 냈습니다. 연기만으로도 볼만한 영화입니다.
이만 <살인자의 기억법> 영화추천, 영화후기, 영화리뷰를 마치도록하겠습니다.
댓글